초보자를 위한 우두머리 포켓몬 포획 팁
달콤한향기
0
6
0
0
11.28 22:28
우두머리(Alpha) 포켓몬은 빨간 테두리와 약간 더 큰 스프라이트를 가진 포켓몬으로
숨겨진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두머리 포켓몬을 잡아서 교배 시 재료 포켓몬으로 사용하거나
글로벌 거래소(GTL)에 팔아서 돈을 벌 수 있습니다.
(우두머리 포켓몬의 개체값은 최소 2V(2x31)가 보장됩니다)
인게임 시간으로 하루(실제 6시간)에 1번 우두머리 무리(Alpha swarm)가 출현합니다.
각 지방 타운맵을 보면 현재 출현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우두머리 무리는 우두머리 포켓몬 1마리와 일반 포켓몬 3마리로 구성되며
일반 포켓몬은 숨겨진 특성 인 경우가 있습니다.
우두머리 무리는 실제 시간 75분(인게임 5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우두머리 포켓몬을 기절시키거나 우두머리 포켓몬에게 패배한 경우,
다시 그 위치에 돌아가면(또는 재로그인) 계속 다시 조우할 수 있습니다.
우두머리 포켓몬에게서 도망칠 경우, 우두머리 포켓몬은 2분 후에 리스폰됩니다.
포획에 도움이 되는 포켓몬
레벨100 포켓몬으로 조우하는 경우, 우두머리 포켓몬의 레벨은 66~72 입니다.
포획용 루브도, 버섯모는 개체값이 높을수록 좋습니다.
나머지 포켓몬은 V(31) 개체값이 없더라도 괜찮습니다.
(얼루기는 스피드 종족값이 높지 않기 때문에 높은 스피드 개체값과 명랑 또는 겁쟁이 성격을 추천합니다)
HP, 방어, 특방에 높은 개체값과 방어, 특방, 스피드 하락 성격이 아닌 정도면 충분합니다.

얼루기@광각렌즈 / 특성: 심술꾸러기(H) / 스킬스왑, 최면술, 지구던지기, 플래시(HM), 괴력(HM), 바위깨기(HM), 구멍파기 등
보통 선두 포켓몬으로 스킬스왑을 써서 우두머리 포켓몬의 특성을 심술꾸러기로 바꾸는데 사용됩니다.
우두머리 포켓몬은 볼을 던져 잡히지 않았을 때, 야성의 힘이 발동하여 모든 랭크가 한 단계씩 올라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성을 심술꾸러기로 바꾸면 이 랭크 변화를 반대로 내려가게 만듭니다.
특성을 바꾼 후에는 최면술로 재우거나 지구던지기로 HP를 깎을 수 있습니다.
(최면술로 잠든 턴을 쌓아두면 드림볼을 던지기가 좋아집니다)
지구던지기는 보통 한 번에 50% 이상의 데미지를 입힙니다.
우두머리 포켓몬의 HP가 높아 지구던지기가 50% 미만의 데미지를 입히는 경우, 2번 사용하여 HP를 상당히 깎을 수 있습니다.
('설정-인터페이스-배틀 데미지 퍼센트 표시-항상' 으로 설정하면 배틀 메시지에서 데미지 %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맘박쥐@돌격조끼, 느림보꼬리, 겨냥표적 / 특성: 서투름 / 트릭, 분노의앞니, 도발, 안개제거(HM), 플래시(HM), 냄새구별 등
트릭으로 돌격조끼를 건네주어 우두머리 포켓몬의 변화기를 제어하는데 사용됩니다.
우두머리 포켓몬이 회복하는 기술(아쿠아링, 날개쉬기, 광합성 등)이나
성가신 변화기(버섯포자, 최면술, 날려버리기 등)를 가지고 있다면
선두 포켓몬으로 내보내 변화기부터 못 쓰게 만들 수 있습니다.
트릭 사용 후에는 분노의앞니를 써서 우두머리 포켓몬의 HP를 계속 깎아낼 수 있습니다. (HP가 많을 때에는 칼등치기보다 분노의앞니가 더 좋습니다)
변화기를 못 쓰게 만든 후에는 우두머리 포켓몬이 공격 기술 PP를 모두 소모하기 전에 포획하는 게 좋습니다.
(공격 기술 PP를 모두 소모하면 발버둥으로 자동 기절합니다)
일반적인 랭크업 변화기의 경우, 얼루기가 먼저 스킬스왑을 써놓으면
심술꾸러기 특성에 의해 랭크가 내려가기 때문에 돌격조끼를 건넬 필요가 없습니다.
우두머리 포켓몬에게 성가신 변화기가 없다면
돌격조끼 대신 느림보꼬리를 건네주어 우두머리 포켓몬을 항상 후공으로 만드는 것도 좋습니다.
우두머리 포켓몬이 고스트 타입인 경우 겨냥표적을 건네줄 수도 있습니다.
같은 역할로 맘박쥐 대신 다른 서투름 특성 포켓몬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어롭, 골루그 등)

루브도@실크스카프, 먹다남은음식 / 특성: 테크니션 / 칼등치기, 버섯포자, 물붓기, 분노의앞니, 회복봉인 등
포획용 루브도입니다. 칼등치기는 볼을 던져 우두머리 포켓몬의 방어 랭크를 -2 이하로 떨어지게 한 후 쓰는 게 좋습니다.
물붓기는 고스트, 풀 타입에게 칼등치기, 버섯포자가 통하게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또한 우두머리 포켓몬이 물타입이 아닌 경우, 자속 보정 기술을 약화시키는 용도로도 좋습니다.
회복봉인은 돌격조끼 트릭으로 막을 수 없는
드레인펀치, 기가드레인, 흡혈 등을 5턴 간 못 쓰게 할 수 있습니다.

버섯모@맹독구슬 / 특성: 포이즌힐 / 칼등치기, 버섯포자, 대타출동, 그림자분신 등
포획용 버섯모입니다. 포이즌힐 특성으로 체력을 회복하며 버섯포자-대타출동을 써서 안정적인 포획을 할 수 있습니다.
우두머리 포켓몬에게 느림보꼬리를 건네 준 경우,
분노로 인해 랭크가 역전되더라도 안정적으로 포획할 수 있습니다.

니로우 / 특성: 짓궂은마음(H) / 흑안개, 안개제거(HM) 등
우두머리 포켓몬의 랭크가 -3이하로 떨어진 경우, 분노가 발동해 낮아진 랭크가 역전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흑안개를 써서 랭크를 초기화하는데 사용됩니다.
짓궂은마음 특성으로 인해 우두머리 포켓몬의 스피드 랭크가 올라간 상황에서도 먼저 흑안개를 쓸 수 있습니다.


크로뱃@광각렌즈 또는 골뱃@진화의휘석 / 분노의앞니, 흑안개, 최면술, 날개쉬기, 도발 등
포획 중 분노의앞니, 흑안개가 필요한 경우 내보낼 수 있습니다.
HP를 회복하는 공격 기술(드레인펀치, 기가드레인, 흡혈 등)을 사용하는 우두머리 포켓몬을 상대할 때 좋습니다.
포획 과정
얼루기 또는 맘박쥐를 먼저 내보내 특성과 아이템을 바꿉니다.
HP를 최대한 깎고(지구던지기, 분노의앞니) 볼을 던져 랭크를 떨어뜨립니다.
HP를 충분히 줄여놓기 전이라도 랭크를 낮춰 놓기 위해 볼을 던지는 게 좋습니다.
이후 루브도, 버섯모를 내보내 포획하며 필요 시 니로우나 크로뱃(골뱃)을 이용합니다.
비전머신 포켓몬이 필요한 경우, 우두머리 포켓몬의 종류에 따라 니로우, 크로뱃(골뱃) 중 하나를 빼고 비전몬을 넣을 수 있습니다.
우두머리 포켓몬이 출현했을 때 미리 그 우두머리 포켓몬의 기술배치를 알아두면 도움이 됩니다.
글로벌 채팅이나 이미 포획되어 글로벌 거래소(GTL)에 올라온 우두머리 포켓몬으로부터 기술배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우두머리 메타몽의 경우 조우 시 랜덤 우두머리 포켓몬 중 하나로 변신합니다.
변신한 포켓몬의 종류에 따라 포획 난이도에 약간의 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처음 조우 시 변신할 포켓몬이 정해지기 때문에, 포획하지 않고 다시 조우하면 항상 처음과 같은 포켓몬으로 변신합니다.
몬스터볼의 경우 턴이 지날수록 포획률이 올라가는 타이머볼을 주로 사용합니다. 충분하게 사놓는 게 좋습니다.
[타이머볼과 다른 볼의 포획률 비교]
|
|
|
|
|
|
| 1턴 | x 1.0 | ||||
| 2턴 | x 1.3 |
x 2.0 |
x 3.5 물타입이나 벌레타입 |
||
| 3턴 | x 1.6 | ||||
| 4턴 | x 1.9 |
x 2.5 2턴 잠듬 |
x 2.5 동굴이나 인게임 밤시간 |
||
| 5턴 | x 2.2 | ||||
| 6턴 | x 2.5 | ||||
| 7턴 | x 2.8 |
x 4.0 3턴 이상 잠듬 |
|||
| 8턴 | x 3.1 | ||||
| 9턴 | x 3.4 | ||||
| 10턴 | x 3.7 | ||||
| 11턴 이상 | x 4.0 |
10턴 이하에서는 타입이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볼을 던져서 포획률을 높이고 포획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포켓몬의 종류에 따라 아래의 볼들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스피드볼 (x 4.0 스피드 종족값 100이상)
헤비볼 (x 4.0 무게 300kg 이상 / x 3.0 무게 200kg이상~300kg미만)
문볼 (x 4.0 달의돌로 진화하는 포켓몬 계열)
타이머볼
하이퍼볼
드림볼
다크볼
네트볼